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본 불매운동 '노재팬' : 왜 시작됐고, 경제 파급 효과는?

by 사용설명서 마스터 2025. 6. 1.

2019년 여름,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궜던 '노재팬(No Japan)' 운동을 기억하시나요? 단순한 소비자 운동을 넘어 외교, 역사, 경제적 파급 효과까지 낳았던 이 운동은 한국 사회에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과연 노재팬은 왜 시작됐고,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출처: 인스타그램 갈무리


'노재팬'의 도화선: 일본의 '경제 보복' 조치

노재팬 운동의 직접적인 시작은 2019년 7월, 일본 정부의 한국에 대한 일련의 수출 규제 조치였습니다.

  •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일본의 반발: 2018년 10월, 우리 대법원이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일본 기업이 배상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이를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기존 입장에 반하는 것이라며 강력히 반발했죠.
  • 핵심 소재 수출 규제 및 '화이트리스트' 제외: 이에 대한 사실상의 보복 조치로, 일본은 2019년 7월 한국에 대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3개 품목의 수출 규제를 발표했습니다. 이어서 8월에는 한국을 수출 절차 간소화 대상국인 '화이트리스트(백색 국가)'에서 제외하는 추가 조치까지 단행했습니다.

이러한 일본 정부의 행태에 한국 국민들은 과거사 문제에 대한 반성 없는 경제적 보복이라며 크게 분노했습니다. 이는 자발적인 저항의 형태로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인 '노재팬'으로 확산되었고, 과거와 달리 정부 간 무역 분쟁에 대한 국민적 대응이라는 점에서 전례 없는 파급력을 보였습니다.

 

출처: 서울경제


뜨거웠던 '노재팬'의 시간: 시작과 지속, 그리고 변화

노재팬 운동은 2019년 7월 초 일본의 수출 규제 발표와 동시에 시작됐습니다.

  • 초기 확산 (2019년 7월~10월): 운동 초기에는 '노노재팬(NoNoJapan.com)'과 같이 일본 제품의 대체재 정보를 공유하는 웹사이트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SNS에서는 일본 여행 취소 인증 릴레이, 일본 제품 불매 독려 캠페인이 빠르게 퍼져나갔죠. 유니클로, 일본 맥주, 일본 자동차, 일본 여행 등이 주요 불매 대상이었습니다.
  • 지속과 완화 (2020년~현재): 시간이 지나면서 운동의 열기가 다소 수그러드는 모습도 보였지만, 2020년에도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 정서는 상당 부분 유지되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해외여행이 어려워지면서 일본 여행 감소는 더욱 심화되기도 했습니다. 엔데믹 이후 한일 관계가 해빙 무드로 접어들고 엔저 현상이 겹치면서 2023년부터는 일본 제품 소비와 일본 여행이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운동의 동력이 약화되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소비재 품목에서는 불매운동의 영향이 남아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노재팬이 남긴 경제적 파급 효과

노재팬 운동은 한국과 일본 양국 경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 일본 경제에 미친 영향:
    • 관광 산업 직격탄: 한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높았던 일본의 지방 도시(규슈 지역 등)와 관광 산업은 가장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한국발 일본 노선 항공편이 대거 축소되거나 중단되면서 일본 지방 소상공인들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 소비재 판매 급감: 일본 맥주는 국내 수입 맥주 시장 1위에서 밀려났고, 유니클로, 무인양품 등 일본 패션 브랜드는 매출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닛산, 인피니티 등 일본 자동차 브랜드는 한국 시장에서 철수를 결정하거나 판매가 급감하며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 '선택적 불매' 현상: 모든 일본 제품이 아닌, 대체재가 있거나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품목 위주로 불매가 이루어지는 '선택적 불매' 현상도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게임이나 담배처럼 강력한 팬덤이 있는 품목은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기도 했습니다.
  • 한국 경제에 미친 영향:
    • 국내 산업 대체 효과: 일본 제품 불매로 인해 한국 소비자들은 국내 제품이나 다른 국가의 제품으로 소비를 전환했고, 이는 국내 산업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했습니다.
    • 소비자 의식 변화: 단순히 제품 불매를 넘어, 소비자들이 기업의 윤리적 문제나 국가 간 관계를 고려하여 소비를 결정하는 경향이 강화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공급망 자립화: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는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공급망 다변화와 핵심 기술 국산화 노력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한국 산업의 자립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긍정적 평가도 있습니다.


노재팬 운동은 한일 관계 악화의 상징이자, 소비자의 집단적인 목소리가 경제와 외교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여준 중요한 사례로 기억될 것입니다.